캐시 서버
Unity는 .psd 파일이나 .fbx 파일과 같은 에셋 소스가 변경되면 Unity는 변경사항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다시 파일을 임포트합니다. 파일에서 임포트된 데이터는 즉시 내부 형식으로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이 정렬 방식은 각 사용자 작업의 흐름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서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나 팀으로 작업할 때는 다른 사용자들이 계속 변경하는 에셋을 임포트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됩니다. 거기에 더해서 데스크탑에서 모바일 빌드 타겟 플랫폼으로 전환 시 에셋을 다시 임포트해야 합니다. 이러한 전환은 큰 프로젝트일 수록 더 많은 시간을 소모합니다.
임포트한 에셋 데이터를 캐시 서버 에 캐시하는 것은 에셋을 임포트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입니다.
유니티를 사용하면서 느낄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에셋이 생기거나, 혹은 에셋에 변경이 생기거나, 혹은 컴퓨터에 처음 작업환경을 세팅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의 최신판을 불러오는 등
캐시 서버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러한 모든 과정이 로컬 환경에서 처리를 해야 하므로 그만큼 느려진다.
규모가 작아 양이 적은 프로젝트일 경우엔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규모가 커서 그만큼 양이 많다면 더더욱 이 부분이 작업을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해질 것이다.
캐시 서버를 사용함으로써 에셋을 가져오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플랫폼 전환 작업을 할 때도 시간을 매우 절약할 수 있고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캐시 서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 문서에 정리가 잘 정리가 되어 있는듯 하다.
https://docs.unity3d.com/kr/current/Manual/CacheServer.html
캐시 서버 - Unity 매뉴얼
Unity는 완전한 자동 에셋 파이프 라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psd 파일이나 .fbx 파일과 같은 에셋 소스가 변경되면 Unity는 변경사항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다시 파일을 임포트합니다. 파일에서 임포트된 데이터는 즉시 내부 형식으로 변환되어 저장됩니다.
docs.unity3d.com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 - 프로파일러 (Profiler) (0) | 2021.07.23 |
---|---|
유니티 2019 - 모바일 알림 (0) | 2021.07.23 |
유니티 - 프레임 표시하기 (0) | 2021.07.23 |
유니티 - 애니메이션 클립 이벤트 (animation clip event) (0) | 2021.07.23 |
유니티 - 라이트맵 (LightMap) (0) | 2019.08.12 |